![](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kG0T/btsyPRWgjLh/puK5R39LoFstQUksq6pHL0/img.png)
전입세대 열람 하실 때 미리 입력해 주민센터에서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 서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전입세대확인서 발급방법 확인하기 전입세대열람원은 인터넷 발급이 불가능하며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신청, 발급이 가능합니다. 신청할 때는 전입세대확인서 열람 또는 교부 신청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합니다. 양식은 주민등록법 시행규칙 별지 제15호 서식을 활용합니다. 참고로 전입세대열람원 위임장의 경우는 신청서 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위임장을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전입세대확인서 신청서 양식 다운로드 그냥 열람만 했을 때는 300원, 전입세대확인서 교부를 했을 경우 500원의 금액이 1건당 들었습니다. 전입세대확인서 교부는 관공서 법원등 제출을 해야 할 경우 발급받습니다. 용도 및 목적의 경우 적을 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0LQd/btsyLnH6WGJ/uHYyz3VeJP1luJTZCaOhb1/img.png)
연봉계약서와 근로계약서의 차이점을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연봉계약서가 무엇인지, 잘 읽고 작성하는 방법까지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직장생활을 이제 막 시작했거나 이제 시작할 예정이라면 주의 깊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봉계약서 연봉계약서를 잘 읽고 작성하는 법을 알기 전에 개념부터 확실히 알아보겠습니다. 연봉계약서란 근로계약서의 내용 중 임금에 관한 부분만을 따로 담고 있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연봉계약서의 경우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은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되어야 하고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연봉계약서를 작성할 때는 근로계약기간과 별도로 연봉계약기간이 적혀 있는지 확인하면 좋습니다. 근무시간이나 근무 장소, 휴일과 휴가 등에 대한 내용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예외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Tanq/btsycVlPuNj/t3tW6zlrW1szPgXct1uti1/img.png)
최근, 전세사기로 인해 많은 분들이 피해를 입고 전세보증보험을 통해 전세보증금을 신청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안전하게 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hug 전세보증보험 신청방법 및 신청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보증보험 신청가능여부 확인하기 편하게 사이트 아래 남겨드릴 테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세보증보험 신청가능 확인하기 전세보증보험 신청기한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이하 전세보증보험)은 전세계약 종료 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해야 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 보증상품입니다. 1. 신규 전세계약의 경우 전세계약서 상 잔금지급일과 전입신고일 중 늦은 날로부터 전세계약기간의 1/2 경과하기 전 2. 갱신 전세계약의 경우 갱신 전세계약서상 전세계약기간의 1/2 경과하기 전 전세보증보험 신청방법 H..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PaeXr/btsx47rqq5g/pmp5QKvyNJVncFs7saFFG1/img.png)
누구나 거주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사하기 위해서는 주택에 대해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이후 잔금일에 나머지 금액을 이체하고 이사를 하게 되는데요. 이때 꼭 해야 되는 필수적인 절차가 있습니다. 바로 전입신고입니다. 오늘은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법과 필요서류, 신고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입신고 바로가기 전입신고 기간 전입신고는 한 세대에 속하는 인원이 거주지를 이동할 때 신고 의무자가 주소지 변경 및 등록 등 전입사실을 새로운 거주지 관할기관(주민센터 등)에 신고하는 일을 말합니다.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 신고를 해야 합니다. 전입신고하는 이유는 대항력을 획득하기 위함입니다. 대항력은 임차인이 보증금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대항력으로 인해 보증금을 돌..